너, 내 동료가 돼라!
2025년 8월 30일. 파릇파릇한 대파처럼 청량한 오늘, 여름성경학교를 위해 고생하신 모든 분들을 위한 뒤풀이 모임이 열렸습니다. 사실 며칠 전까지만 해도 기상청은 “토요일엔 비”라는, 듣는 사람의 의욕을 단번에 꺾는 예보를 내놨습니다. 하지만 정작 오늘 하늘은 그런 엄포 따위는 기억조차 못 한 듯 파랗게 열려 있었습니다.
다들 이렇게 한 자리에 모이니, 여름성경학교가 떠오릅니다. 그때 우리는 아이들을 섬긴다며 사실상 체력 단련을 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지금 다 같이 웃으며 회상하다 보니, 그 고생도 어느새 "은혜로운 추억"이라는 이름표를 달고 나타납니다. 이쯤 되면 인간의 망각 능력은 가히 성령의 은사라 해도 과언이 아닐 듯합니다.
파티에 음식이 빠질 수는 없습니다. 오늘의 주인공은 고기, 그리고 그 고기를 위해 먼저 치러야 할 의식은 석탄에 불을 붙이는 일입니다. 불쏘시개를 넣고 불꽃이 사라질 때까지 연기를 쐬며 앉아 있는 동안, 우리는 마치 작은 제단 앞에 앉은 제사장 같았습니다. 레위기의 말씀처럼 “불은 꺼지지 않게 할지니라”를 떠올리며, 다소 하찮은 일회용 종이 접시로 바람을 막아가며 불을 지켰지요. 그러다 보니 문득 불을 몰랐던 시절의 인류가 생각났습니다. 날고기를 씹으며 얼마나 화가 많았을까. 그렇게 생각하니, 지금 시대에 태어나 구운 고기를 먹을 수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감사와 기쁨이 새삼 밀려옵니다.


석탄에 불이 고르게 붙으면 이제 본격적인 시작입니다. 정성으로 준비된 고기를 마치 도미노 쌓듯 조심스럽지만 신속한 몸짓으로 그릴 위에 올립니다. 이렇게 고기를 굽기 시작하면 사람들의 이목이 집중되기 시작합니다. 아까 연기를 뒤집어 쓰면서 석탄에 불을 붙일 때 누구 하나 관심을 주지 않더니, 사뭇 다른 풍경이지요.
그래서 저는 이때를 놓치지 않습니다. 양팔을 걷고, 최대한 근엄한 표정으로 고기를 굽기 시작합니다. 잔뜩 생색 낼 수 있는 드문 기회이기 때문이죠. 하지만 이 영광의 시간은 짧고도 짧은 것입니다. 사람들이 충분히 먹고, 더 이상 고기 굽는 광경에 감탄하지 않는 기류가 감지되면 저는 다른 이에게 집게를 넘기고 그림자처럼 쓰윽 빠집니다.
아아… 기회주의자의 삶이란, 이렇게 허무하고도 추악한 몸짓의 연속입니다..
이렇게 고도의 고기 굽기가 이어지다 보면, 마침내 이상적인 굽기의 고기가 완성됩니다. 집게에서 접시로 옮겨지는 순간 이미 절반은 향기에 취해있지요. 준비해주신 반찬과 함께라면 더 이상 레스토랑의 미슐랭 별도, 호텔 뷔페의 호화도 부럽지 않습니다. 무엇보다 지난날, 온 부엌에 기름을 튀기며 혼자 서 고기를 굽던 쓸쓸함이 말끔히 사라집니다.
우리는 젓가락을 들고 정중하게 시작하지만, 몇 분 지나지 않아선 거의 전투입니다. 고기는 순식간에 사라지고, 빈 접시만이 전장의 흔적처럼 남습니다. 누군가는 상추쌈을 예술 작품처럼 정성껏 싸고, 누군가는 그냥 고기만 연속으로 집어 넣습니다. 결국 이 순간 모두가 깨닫습니다. 고기는 고민하지 말고, 그냥 빨리 먹어야 한다는 사실을.

치열했던 고기 먹기가 끝이 났습니다. 분명히 방금 전까지만 해도 모두가 배가 터질 듯 허리를 두드리며 “이제 그만”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나 인류는 고기를 먹고도 멈추지 않는 종족입니다. 우리는 곧바로 마시멜로우라는 새로운 단계에 들어갔습니다.
대체 인간은 왜 이렇게 먹는 걸까요? 먹기 위해 사는 것입니까, 사는 김에 먹는 것입니까? 고기를 그토록 집어삼킨 뒤에도 불 위에서 하얗게 녹아내리는 마시멜로우를 바라보면, 우리는 다시 젓가락을 듭니다. 그리고 깨닫습니다. 마시멜로우란 결국 존재와 비존재의 경계에서 잠시 흔들리다, 입 안에서 소멸하는 연약한 현상에 불과하다는 것을. 그리고 마침내, 우리는 이렇게 중얼거리게 됩니다.
“아아… 이것이야말로 人生이지 않겠는가.”



마시멜로우까지 먹으니 배가 너무 불렀습니다. 단 것을 들이부으니 혈당 스파이크가 치솟아 가만히 앉아 있지를 못하겠더군요. 그래서 인간으로서 최소한의 양심을 지키기 위해 산책을 떠나기로 했습니다.
문제는 그 길이 단순한 평지가 아니라는 것이었습니다. 낮 햇살 아래, 우리를 기다리고 있던 것은 생각보다 가파른 오르막이었습니다. 처음에는 “산책”이라 부르던 그 길이, 몇 걸음 지나자 곧 “등산”이라는 본색을 드러냈습니다. 땀방울이 이마에 맺히고, 누군가는 숨을 헐떡이며 “소화만 하려 했는데 왜 이러냐”는 표정을 지었습니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그 길 위에서 우리는 단순한 산책인이 아니었습니다. 발걸음이 하나로 맞춰지고, 함께 오르내리는 그 짧은 시간이 모험처럼 느껴졌습니다. 우리는 위대한 여정을 앞둔 선원들처럼 걸음을 맞추어 나아갔습니다. 마침내 아무도 낙오하지 않고 목적지까지 도착한 우리는 마치 복숭아나무 아래에서 도원결의를 맺었던 옛 나그네들처럼 하나가 되었습니다.
우리는 그저 배부른 몸을 이끌고 걷고 있었을 뿐입니다. 그러나 고기와 마시멜로우, 그리고 함께한 이 산책이 하나로 이어지자, 짧은 하루가 마치 한 편의 모험담처럼 완성되어 가는 듯했습니다.
결국 우리가 얻은 것은 배부름과 약간의 근육통, 그리고 사진 몇 장이었습니다. 그러나 그것만으로도 오늘 하루는 충분히 값졌습니다. 무엇보다도, 이번 모임은 단순히 고기를 구워 먹고 산책을 한 날이 아니었습니다.
지난 여름성경학교를 위해 함께 땀 흘리며 애써주신 모든 분들이 한자리에 모여, 다시 웃고, 다시 먹고, 다시 걸었던 시간이었습니다. 아이들을 위해 흘렸던 땀이 이제는 우리의 웃음으로 환원되고, 그 기억이 사진 속에 새겨졌습니다.
고기와 마시멜로우, 그리고 짧은 산책. 별것 아닌 일상의 조각들이 모여, 여름성경학교 뒤풀이란 이름의 잔치가 완성되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알게 되었습니다. 은혜는 때때로 이렇게 소박한 만남 속에서, 배부름과 웃음 속에서 드러난다는 것을.
(주일학교 교사, 백민규)